추운 겨울 활동량이 줄면서 변비로 고생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변비란 3일에 한 번 이하로 변을 보거나 변이 딱딱하고 소량의 변을 보는 경우, 변을 보고도 잔변감이 있거나 배변 시 많은 힘을 줘야만 하는 것을 뜻한다.
변비는 신생아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다.
#소아 변비
주로 9세 이하 어린이에게 흔히 나타나고 식습관 등의 생활습관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1. 배변 횟수가 주 2회 이하이다
2. 일주일에 최소 한 번 이상 대변을 지린다
3. 대변을 억지로 참고 배변을 본다
4. 딱딱한 변을 본다
5. 직장에 대변이 다량으로 머무르는 경우,
6. 대변이 굵어서 변기가 막히는 경우
이중 2개 이상 해당되면 소아변비라고 한다.
소아변비는 급성으로 나타나지만 방치한다면 만성변비로 진행되고 오심, 구토, 복통, 복부팽만, 식욕부진으로 이어져 성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소아변비의 경우 전문의에 의한 상담과 진단이 필요하다.
#임산부 변비
임산부의 경우 입덧으로 수분 섭취가 줄고 프로게스테론 등 임신 관련 호르면에 의해 장 운동을 방해한다.
또한 자궁이 커지면서 소장 내 음식물 통과시간이 길어지고 대장근육도 이완되면서 대장 내 내용물이 머무는 기간이 길어져 변비가 발생되기 쉽다.
변비가 심한 경우 전문의와 상담 후 약물로 변비를 해결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임산부는 평소 수분 섭취와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먹는 등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성 변비
노인성 변비는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아 단순한 노화 증상이나 소화장애로 생각해 방치되기 쉽다.
하지만 노년기의 경우 변비가 방치되면 장폐색증 위험이 커진다.
전문가의 처방 없이 판매되는 변비약, 보조식품을 남용할 경우 지나치게 장 점막을 자극해 장내 신경층이 파괴도고 장기능이 완전히 망가질 수 있다.
또한 노인성 변비는 대장암, 염증성 장질환, 당뇨병 등 질병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에 변비가 지속된다면 전문의의 진단을 빠른 시일 내 받는 것이 중요하다.
#변비 개선 생활습관
1. 규칙적인 시간에 식사하기
2. 배변 시 신문, 스마트폰 등 보지 않기
3. 변기에 10분 이상 앉아 있는 것은 피한다.
4. 배변 신호가 왔을 때 30분 내 화장실 가기
5. 30분 정도 유산소 운동하기
6. 섬유질이 많은 음식 섭취하기
7. 충분한 수분 섭취 하기
8. 카페인, 짠 음식 줄이기
생활습관 개선하시고
쾌변 하세요!
'라이프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인, 손목건초염 주의 (1) | 2021.02.02 |
---|---|
췌장암, 소리없는 살인자 (0) | 2021.02.01 |
척추측만증, 불균형한 어깨 높이 (0) | 2021.01.30 |
겨울철, 고혈압 관리법 (0) | 2021.01.29 |
딸기코(주사)란? (0) | 202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