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건강

겨울철, 고혈압 관리법

 

 

 혈압은 심장이 수축과 이완하면서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할 때 혈관에 미치는 압력을 말한다.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몸으로 내보낼 때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최고혈압), 심장이 이완될 때 가장 낮은 수치의 압력을 확장기 혈압(최저혈압)이라 한다.

 

흔히들 혈압을 재서 나오는 용지를 보면 120/80mmHg와 같이 표기되는데, 120은 수축기 혈압이며 80은 확장기 혈압을 뜻한다.

 

 이 혈압이 다양한 원인으로 높아지는 것을 고혈압이라고 한다.

 


#고혈압의 원인

 

 

 고혈압은 크게 원인이 정확하지 않은 본태성 고혈압과 다른 장기 등의 문제로 병의 원인이 밝혀진 2차성 고혈압으로 분류된다.

 

 고혈압의 90~95%는 본태성 고혈압이라고 한다.

 

 고혈압을 유발하는 요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나트륨 과다 섭취, 비만, 스트레스, 추위, 과로, 주의 환경 등이 있다.

 

 다른 병의 원인으로 생긴 2차성 고혈압은 최저 혈압이 많이 높거나, 혈압이 매우 불안정하여 두통을 유발하며 어린 나이나 고령에서 고혈압이 생긴다면 2차성 고혈압의 가능성이 높다.

 

 2차성 고혈압의 원인은 내분비성, 심혈관성, 뇌압 상승, 임신 중독증 등이 있으며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신장 혈관성 고혈압이라고 한다. 

 

 

 

 

#고혈압 진단

 

 고혈압을 진단하려면 최소 2번 이상 혈압을 측정해야 된다. 혈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최대한 제거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혈압측정 전 최소 5분 정도 안정을 취해야 되며, 측정 시 말을 삼가고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앉는 것이 좋다.

 

 혈압이 140/90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된다. (60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150/90mmHg까지 허용)

 


 

#고혈압에 의한 합병증

 

1.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2. 심혈관질환

:심근경색, 울형성 심부전, 심비대, 협심증

 

3. 망막증으로 인한 실명

 

4. 만성 심부전증

 

 

 

 

#고혈압 생활습관

 

1. 적정 체중 유지하기

 

2. 유산소 운동하기

 

3. 저염식 식단 하기

 

4. 금연, 금주

 

5. 카페인 섭취 줄이기

 

6. 포화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음식 피하기

 

7. 정기적인 검진

 

 

 

 


생활습관 관리로 건강한 생활 되시길 바랍니다

 

'라이프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비, 방치하면 위험하다  (0) 2021.01.31
척추측만증, 불균형한 어깨 높이  (0) 2021.01.30
딸기코(주사)란?  (0) 2021.01.28
콩팥이 안 좋을 때  (0) 2021.01.27
'간암' 증상없이 찾아온다!  (0) 2021.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