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도는 쓸개(담낭)에 붙은 작은 관이다. 담도의 역할은 쓸개즙을 십이지장으로 통과시키는 일이다. 쓸개즙은 소화효소를 포함하지는 않지만 커다란 지방 방울을 잘게 쪼개는 역할을 해서 소화효소의 접촉면을 넓혀 주는 기능을 한다
담도암은 국내 10대 암에 속하는 암으로 연령대별 퍼센트는 70대가 36.3%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4.7%, 80대 이상이 24.1% 순으로 나이가 들면서 발병률이 높아지는 암이라고 할 수 있다.
#담도암의 원인은?
현재로서 담도암이 발생하는 명확한 원인은 없으며,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한다고 한다
가장 흔히 알려진 원인은 간흡충 감염이다. 간흡충(간디스토마)은 민물고기를 날로 먹었을 경우 감염되는 기생충 중 하나로, 담도 벽에서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 원인으로 간내 담석증, 담관 낭종이다 췌담 관 합류 이상 같은 선천성 기형, 궤양성 대장염, 원발 경화성 담도염, 선천성 간 섬유증 등이 있으나, 아직 명확한 기전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용어설명-
*간내 담석증: 간의 쓸개관에 결석이 존재하는 담석증
*담관 낭종: 담도가 비가역적으로 확장된 것
*궤양성 대장염: 대장의 점막이다 점막하층에 국한된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장 질환
*원발 경화성 담도염: 원인 모를 간내/ 외 담도의 염증과 섬유화로 인해 발생되는 만성 진행성 담즙 정체성 간질환
*간 섬유증: 간의 만성 손상으로 섬유조직이 증식하는 증상
#담도암의 증상
담도암의 대표적 증상은 통증이 없는 황달이다. 황달은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되고, 갈색 소변과 회백색 변을 누며 피부에 가려움증이 생긴다
담도암으로 인해 담즙(쓸개즙)의 흐름이 막혀 혈액 내 '빌리루빈'(담즙 색소의 주성분)이라는 물질이 증가하여 황달 증상이 나타난다
담도암을 한 번에 치료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동반된 황달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담도암 환자들의 주된 사망 원인이 담즙 정체, 담도염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황달을 없애기 위해 개복 수술을 시행하기도 하고 내시경을 이용한 담도 스텐트 삽관술과 같은 비수술적은 방법을 시행하기도 한다. 스텐트 삽관술은 경험 많은 의사가 집도할 경우 90% 이상의 성공률을 보이며 사망률은 0.1% 정도로 매우 낮다고 한다
#담도암의 예방법은?
원인이 불분명한 만큼 예방법 또한 확실히 알려진 것은 없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간흡충증이 잘 알려진 위험요소인 만큼 민물고기를 충분히 익혀먹는 것이 예방법이 될 수 있다
또 간내 결석이 있거나, 원발성 경화성 담도염, 궤양성 대장염, 선천성 담도 기형 등이 있으면 담도암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해당 질병이 있는 환자는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담도암 예방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꾸준한 건강관리와 정기적인 건강검진으로
건강하세요!
'라이프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통증! 질환에 따른 증상 (0) | 2021.01.11 |
---|---|
편도선염 빨리 낫는 법 (0) | 2021.01.10 |
과민성 대장증후군! 꼭 피해야할 음식 (0) | 2021.01.08 |
찌릿한 귀 통증 , 그 원인은? (0) | 2021.01.07 |
밤마다 쉽게 잠 못드는 현대인! 수면 장애에 도움이 되는 음식 (0) | 2021.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