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고민, 스트레스로 인해 쉽게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요즘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어려움이 가중되어 더 많은 사람이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다
밤에 잠을 제대로 못 자면 다음날 피곤하고 업무효율은 떨어지고 스트레스가 쌓이고 제대로 못 자는 현상이 악순환된다
불면증은 잠들기 힘들거나 자꾸 깨어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불면증은 수면장애의 하나로 오래 자더라도 개운하지 않아 일상생활에 문제가 생기는 것도 수면장애에 해당한다
#불면증 증상
불면증은 밤에 잠들기 힘들거나 자주 깨며 보통 하루나 이틀 정도 지속되다가 만성으로 이어지면 몇 주, 심한 경우 몇 달 몇 년 동안 이어질 수 있다
불면증으로 인해 다음날 낮시간대에 피로로 인해 집중이 잘되지 않고 일에 차질이 생기기 쉽다. 또 운전을 한다면 졸음운전으로 이어져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불면증 종류
불면증은 크게 원인과 지속기간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1. 일시적 불면증
흥분, 일시적 스트레스에 의한 불면증으로 며칠 동안 자지 못하는 상태이다
2. 단기성 불면증
여러 환경에서 받은 지속적인 스트레스에 의한 불면증으로 2~3주 정도 지속되며 스트레스가 사라질 경우 정상수면으로 회복하게 된다
3. 만성 불면증
몇 개월 이상 지속되는 불면증은 만성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만성 불면증 환자는 생각이나 걱정이 많은 성격이거나 수면 호흡장애, 근육운동 장애 등의 신체적인 문제로 인해 잠을 못 자게 된다
#불면증 예방
1. 수면에 적합한 신체상태
너무 배가 고픈 상태이거나 과식을 하게 되면 수면에 방해가 된다. 또한 카페인, 술, 담배 등도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음주 시 수면이 잘된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잠을 자더라도 질이 낮은 수면이거나 수면 주기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술은 피하는 것이 좋다
흡연은 각성효과가 있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주변 환경
소음, 온도, 기온, 베개, 침구 상태 등 주변 환경을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하며 잠들기 전 스마트폰이나 스마트기기 사용은 수면을 방해한다
3. 낮잠 피하기
전날 잠을 제대로 못 자서 낮잠을 잘 경우 또 밤에 못 자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가능하면 낮잠은 피하고 아침 기상시간을 일정하게 맞춰주는 것이 중요하다
4. 스트레스 관리
잠이 오지 않는 것이 어떠한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인 문제라면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수면제 등의 약물은 일시적인 효과일 뿐이기 때문에 심리상태를 관리해야 한다
5. 적당한 운동
적당한 운동은 몸의 긴장과 불안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다만 늦은 시간에 운동을 하거나 지나친 운동은 오히려 각성효과가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6. 강박 관념 버리기
몇 시에 자야 한다거나 잘 자야 한다는 강박 관념은 오히려 대뇌를 각성시키기 때문에 불면증이 악화될 수 있다. 억지로 잠을 청하는 습관은 버려야 한다
'라이프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의 필수인 커피, 건강에 좋을까? (0) | 2021.04.10 |
---|---|
스태미나 증진에 좋은 것은? (0) | 2021.04.10 |
눈 건강에 도움되는 영양소 (0) | 2021.04.07 |
근근막통증 증후군 어깨결림, 목 통증 유발 (0) | 2021.04.06 |
춘곤증, 봄철 졸음이 몰려온다 (0) | 2021.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