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온택트 시대가 가속화되면서 눈에 쌓이는 피로도 가중되고 있다. 직접 만나서 대화를 하는 것이 아닌 컴퓨터 모니터나 스마트폰을 통해 소통하는 시간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재택근무를 하는 직장인들이 늘어나면서 화상회의가 일반화되고, 외출이 자제되어 컴퓨터나 스마트기기를 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안구건조증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늘고 있다
하루 종일 쉬지 못하는 눈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
#안구건조증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증발해 생기는 질환이다.
눈이 건조하지 않게 유지해주는 눈물의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것인데 눈물이 부족해지거나 눈물층 이상이 생기면 눈물이 쉽게 말라 눈에 건조함을 느끼게 된다
#안구건조증 원인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조명, 컴퓨터 노출 시간의 증가, 눈 깜박임 저하, 건조한 환경, 렌즈 착용, 찬바람 노출, 장시간 독서 등 환경적인 요인으로 발생한다
당뇨병, 만성 결막염, 안검염, 갑상선 질환, 피부질환, 안면신경마비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 또는 점안약의 과다한 남용 등도 안구건조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 외 라식수술, 스트레스, 만성피로, 영양 불균형, 호르몬 변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눈물 생성이 부족해지거나 눈물층의 이상으로 눈물이 과다 건조되어 안구건조증이 발생한다. 또한 나이가 많아지면 눈물 생성이 줄어들어 눈이 건조해진다
#안구건조증 증상
대표적으로 눈이 마르고 뻑뻑한 증상이 있으며 자극감, 이물감, 작열감, 가려움, 침침함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눈이 따갑고 시리거나, 충혈, 바람에 예민함을 느끼는 불편감 등이 나타나기도 하고 오히려 자극에 대한 반사작용으로 눈물이 더 나올 수도 있다
#안구건조증 예방
안구건조증은 하루 이틀 관리해서 완치되지 질환이 아니다. 심한 경우 시력 손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꾸준한 관리가 중요하다
- 눈 화장, 염색 등 눈에 자극적인 제품 피하기
- 건조한 환경 피하기 (온풍기, 찬바람 등)
- 콘택트렌즈 장시간 사용 삼가기
- 스마트 기기, TV 적당히 보기
- 스트레스 관리
- 충분한 수면
- 눈 자주 깜박이기
소중한 눈, 관리 잘하시고
건강하세요
'라이프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염, 직장인 건강을 위협한다! (0) | 2021.02.28 |
---|---|
목디스크, 젊다고 방심할 수 없다 (0) | 2021.02.27 |
하지불안 증후군, 잠들기 힘든 질환 (0) | 2021.02.25 |
요실금, 겨울철에 더 심해진다 (0) | 2021.02.25 |
부정맥, 증상없이 돌연사를 부른다. (0) | 2021.02.24 |